SEOUL MIND BRIDGE
SEOUL MIND BRIDGE
증상 및 심리 관련 용어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연극성 성격장애 시리즈] 6. 연극성 성격장애의 치료 (1)
-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
1. 환자가 제시하는 증상부터 다루기
연극성 성격장애를 치료할 때 먼저 유의해야 할 점은,
이들이 제시하는 증상을 직접적으로 해석하거나 공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히스테리 증상은 많은 정보를 모으고 잘 준비한 다음 적절한 시기에 우회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제거될 가능성이 높다.
2. 저항해석
정신역동치료에서 환자에 대해 어떤 해석을 하기 전에 먼저 저항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는 마음 한편에 자신의 심리내적 세계에 대해 알고 싶지 않은 것이 있다.
어떤 마음이 무의식화되었을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그 이유가 드러나서 자신의 마음을 아는 데는 당연히 저항이 따르는 것이다.
3. 치료적 동맹
연극성 성격장애자들은 종종 치료자와의 관계에서 전적인 만족을 주거나
아니면 전혀 만족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관계를 맺으려고 한다.
환자는 치료자에게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는 요구를 하는 셈이다.
치료자는 무조건 받아주거나 환자에게 보복하지 않고 중립적이고 지속적인 치료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4. 전이 해석
아마도 연극성 성격장애 환자의 치료에서 특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성적인 전이’가 종종 일어난다는 것일 것이다.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치료자에 대한 성적인 전이는
치료관계에서 환자가 치료자를 다정하게 느끼고 좋아하는 성적인 감정이 생기는 것이다.
연극성 성격장애자가 보이는 성적인 전이는 주의 깊게 다루면,
치료자가 전이관계를 통해서 환자의 과거 관계를 생생하게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치료 상황 밖의 유사한 대인관계 상황에서 환자가 어떤 기여를 하는지를 알 수 있고,
사랑과 성에 관련된 환자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다.
5. 히스테리적 사고 유형의 치료
연극성 성격은 생각을 분명하게 사고하지 않고 정서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서 감정들 간의 인지적인 연관성을 재학습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결국 이들이 방어하는 것은 ‘감추고 싶은’ 감정이다.
따라서 치료자는 감정을 따로 떼어서 치료해야 하며,
환자가 자신이 어떤 방어를 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자신이 피한 생각들을 재경험하도록 도와야 한다.
출처: 김정욱‧한수정.2000.연극성 성격장애.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