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EOUL MIND BRIDGE

커뮤니티

심리학칼럼

증상 및 심리 관련 용어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가족치료 시리즈] 1. 초기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관리자 2024-08-23 조회수 223


[가족치료 시리즈] 1. 초기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가족치료는 개인 심리치료의 한 분파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개인치료의 밑바탕이 된 세계관과는 다른 세계관이 나타나면서 태동하고 발전하였다.


초기 가족치료 모델은 체계론적 사로를 함축하는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로부터 비롯되었으며

가족의 역기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개념과 기법을 제시하였다.


일반체계이론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기한 사람은 생물학자인 베르탈라피였으며.

일반체계이론과 더불어 생태체계이론, 자연체계이론, 전일론, 사이버네틱스 등의 비슷한 개념이 소개되었는데,

이 모든 용어는 부분에서 전체로의 전환을 함축하였다.


일반체계이론의 기본 개념인 체계와 하위체계 및 경계, 개방성과 폐쇄성의 개념을 통해

체계의 기본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처리와 의사소통, 규칙의 개념을 통해

체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고, 


상호보완성과 패턴, 전체성, 자기조적의 개념을 통해

체계의 속성을 이해할 수 있다.


가족도 하나의 체계로서 일반체계이론의 기본 개념을 근거로 가족을 이해하는 것은

초기 가족치료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한편 사이버네틱스는 1차와 2차로 구분되며, 

1차 사이버네틱스는 일반체계이론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일반체계이론은 초기 가족치료 모델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가족치료 모델이 구체화되기 전에도 일반체계이론을 기초로

조현병 환자 가족을 설명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개념이 발전되었다.


베이트슨의 이중구속 개념, 리즈의 부부균열과 부부불균형 개념,

윈의 거짓상호성과 거짓적대성 및 고무울타리 개념은

당시 조현병 환자 가족의 치료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 [참고] 베이트슨의 이중구속 개념의 예 


지금도 조현병의 발병이 가족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이러한 시각이 여전히 고려되고 있지만, 

신경과학의 발전은 조현병이 뇌기능 장애와 관련된다는 강력한 근거를 제기함으로써 조현병 치료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초기 가족치료 연구에서 발전된 여러 개념은 오늘날 조현병 환자 가족을 설명하기 위해서보다도

역기능적 가족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순환적 인과관계 


순환적 인과관계의 개념은 

체계에서 일어나는 행동은 순환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쳐 순환적인 결과를 일으키므로 

원인과 결과를 정확하게 찾고 구분 지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증상이나 문제는 특정 원인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행동과 반응의 연속선상에 존재한다. 


순환적 인과관계 속에서 특정 원인을 구별해 내는 것을 마침표(punctuation)이라고 한다.

마침표는 인과관계를 바라보는 관찰자에 따라 다르며,

마침표를 찍는 사람에 따라 원인을 식별해 내는 행위도 달라진다. 


가족원 간 혹은 대인 간의 갈등은 대부분 원인에 대한 마침표를 다르게 찍는 것에서 비롯된다. 



[그림 3-3]에서 보듯이 아버지와 아들이 '잔소리 → 늦은 귀가'라는 상호작용을 계속 하고 있을 때,

아버지는 아들이 늦게 귀가해서 잔소리를 하였다는 '늦은 귀가 → 잔소리' 패턴에 마침표를 찍고,

아들은 아버지가 잔소리를 해서 늦게 귀가한다는 '잔소리 → 늦은 귀가'에 마침표를 찍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체계론적 가족치료자는 

아들의 마침표가 옳은가 아니면 아버지가 옳은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이러한 패턴으로 둘 간의 상호작용이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출처) 정문자 외. (2018).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Click!! 이 곳을 클릭하여 서울마인드브릿지 심리상담센터에 가족상담 문의하러가기







부모교육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23길 58
마인드브릿지 빌딩 3층 서울마인드브릿지 심리상담센터
02-332-5112
010-9738-5114

상담

서울마인드브릿지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