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EOUL MIND BRIDGE

커뮤니티

심리학칼럼

증상 및 심리 관련 용어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부부 및 가족상담 시리즈] 3. 다세대 가족상담
    부부 및 가족 상담 시리즈 (3)다세대 가족상담 다세대 가족상담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체계 안에서의 개인의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이론이다.다세대 가족상담은 가족 구성원 한 사람에게만 치료의 초점을 맞추거나 핵가족 체계만을 보는 것 이상으로 원가...
    2024-03-07
  • [부부 및 가족상담 시리즈] 2. 대상관계 가족상담
    부부 및 가족 상담 시리즈 (2)대상관계 가족 상담 대상관계 가족 상담은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은 정신분석가들이 프로이트가 초점을 둔 개인 내면의 역동을 관계적 측면에서 조명하기 시작하면서 가족상담의 영역이 되었다.가족상담은 개인이 아닌 관계에의 역동...
    2024-03-07
  • [부부 및 가족상담 시리즈] 1. 부부 및 가족상담의 이론적 기초
    부부 및 가족상담 시리즈 (1)부부 및 가족 상담의 이론적 기초 가족상담의 여러 이론은 관점에 따라서 여러 범주로 나누어진다.첫째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학자들은 가족 상담을 다르게 바라본다.가족상담의 이론들이 만들어지는 시대의 철학과 이론과 가족 상담이 발전...
    2024-03-07
  • [놀이치료 시리즈] 8. 놀이치료시 발생하는 문제들 (2)
    놀이치료 (8)놀이치료시 일어나는 문제들 (2) 4. 놀이치료실을 떠나지 않으려는 아동떠나는 것에 대한 아동의 거부는 놀이치료자가 자신의 억지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가를 알아보려는 것일 수도 있다.아동의 얼굴표정은 놀이를 계속 하고 싶다는 것을 강렬하게 나타내지 ...
    2024-03-07
  • [놀이치료 시리즈] 7. 놀이치료시 발생하는 문제들 (1)
    놀이치료 (7)놀이치료시 일어나는 문제들 (1) 1. 말을 하지 않으려는 아동부모로부터‘너 때문에 이런 곳까지 와야 되다니, 너무 속상하다’등의 비난을 미리 듣고 오는 경우나 심하게 위축된 아이 등은 치료자와 관계를 맺는 것을 처음부터 거부할 수 있다.아무 것도 ...
    2024-03-07
  • [놀이치료 시리즈] 6. 놀이치료 도구
    놀이치료 (6) 놀이치료 도구 놀이치료에서 아동이 선택하는 도구는 의사소통의 도구이고 놀이는 아동의 의사소통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그러므로 아동의 문제가 정서적인 것(적대감, 공격성, 질투)인지 행동적인 것(과잉행동, 폭력, 고함지르기)인지에 따라 아...
    2024-03-07
  • [이달의 선생님 인터뷰] 임상심리사 손경빈 선생님
    저희 센터 임상심리사 손경빈 선생님을 여러분께 소개해드립니다 : )
    2024-03-06
  • [놀이치료 시리즈] 5. 발달놀이치료
    놀이치료(5)발달놀이치료 발달놀이치료는대상관계 이론과 애착이론, 그리고 접촉(touch)을 개념적 틀과 핵심으로 삼고 있다. Brody(1978)는 학습에 문제가 있는 저학년 아동집단과 경증 정신병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신체적 접촉과 구조화된 치료를 실시하고,신...
    2024-03-04
  • [놀이치료 시리즈] 4. 인지행동 놀이치료
    놀이치료 (4)인지행동 놀이치료 인지행동 놀이치료는 우리가 겪는 삶의 사건들에 대한 감정이 실제로는 그 사건에 대해 갖는 생각 또는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의 신념체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엘리스(Ellis)의 인지-정서-행동치료(rational-emotive-behav...
    2024-03-04
  • [놀이치료 시리즈] 3. 아동중심적 놀이치료
    놀이치료 (3)아동 중심적 놀이치료 아동 중심적 놀이치료는 Carl Rogers(1951)가 창시한내담자 중심치료(인간중심치료)의 이론적 개념을 따르는 것으로Rogers의 제자이자 동료가 된 Virginia Axline은 이 원칙들을 아동에게 적용하여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창안해냈다.아동은 자신의...
    2024-03-04

부모교육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23길 58
마인드브릿지 빌딩 3층 서울마인드브릿지 심리상담센터
02-332-5112
010-9738-5114

상담

서울마인드브릿지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