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EOUL MIND BRIDGE

커뮤니티

심리학칼럼

증상 및 심리 관련 용어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대화의 심리학] 6. 품위있게 요청하기 & 거절하기
    품위있게 요청(부탁)하기 & 거절하기 1. 부탁하기의 문장을 미리 적어보기부탁을 즉흥적으로 말하기 전에 부탁의 말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미리 분명하고 세련된 말로 적어보고 거울 앞에서 연습해 본다.- 누구에게 : 사람 이름을 적는다.- 내가 원하는 것 : 구체적인 것...
    2024-01-29
  • [대화의 심리학] 5. 주장적인 자기 표현의 기술
    주장적인 자기표현의 기술 1. 소극적(비주장적), 공격적, 주장적 행동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표현 양식을 인격적인 존중과 권리의 면에서 구분하자면 크게 소극적행동, 공격적 행동, 주장적 행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소극적(또는 비주장적 행동)상대방을 배려한 ...
    2024-01-29
  • [대화의 심리학] 4. 자녀지도를 위한 대화기법 - 자녀지도에서 강조되어야 할 덕목
    자녀지도를 위한 대화기법 - 자녀지도에서 강조되어야 할 덕목1. 자녀의 개성 발견과 자기 실현부모는 자녀의 개성과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킴으로써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자녀의 지능개발과 인격도야와 건강한 신체를 길러 주는 일에 전력하...
    2024-01-26
  • [대화의 심리학] 3. 감정조절은 대화의 시작이다
    감정조절은 대화의 시작이다 1. 분노란 어떤 감정이며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가분노란자기의 욕구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정당한 행동이 방해받거나 격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에 당면해서 경험하게 되는 불쾌한 정서적 / 생리적 반응이다.화난 감정과 함께 불...
    2024-01-26
  • [대화의 심리학] 2. 의사소통의 유형
    의사소통의 유형 여러 가지 의사소통 형태 중 키슬러(Kiesler)가 정리한 것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만의 독특한 성격이나 대인 관계의 유형이 있으며 그런 특성은 일관성 있게 지속된다고 한다.키슬러의 대인관계 양식의 8가지 유형과 특징1. 지배형&nb...
    2024-01-26
  • [대화의 심리학] 1. 의사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의사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의사소통의 정의의사소통이란,전달자(송신자)가 수용자(수신자)에게 사실, 생각, 감정을 알려 주고 의사 교류를 통하여 공통적인 이해를 이룩하며 수용자(청취자)의 생각, 감정, 행동이 변화를 일으키도록 영향력을 미치는...
    2024-01-26
  • [부모교육 자녀양육 시리즈] 9. 형제자매의 사이가 안 좋아 불안한 부모에게
    형제자매의 사이가 안 좋아 불안한 부모에게 1. 부모의 개입이 형제자매 사이의 갈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현대는 부모의 세대가 자랄 때와 다르게 가족의 형태가 바뀌었고,아동과 청소년 심리도 바뀌었고 교육 환경도 많이 바뀌었습니다.따라서 부모가 전통적 사고를 ...
    2024-01-26
  • [부모교육 자녀양육 시리즈] 8. 성형수술을 원하는 자녀의 심리에 대하여
    성형수술을 원하는 자녀의 심리에 대하여 1. 외모는 단순 미적 감정으로 순간의 느낌이고, 이성적으로 공감하는 미는 다르다.인간에게는 이성과 감정이 있고, 마음과 육체가 있는데,이 둘의 조화와 균형은 중요하다.사실 감정 속에도 논리적인 특성이 있고,이성적 사고 속에도 느...
    2024-01-23
  • [부모교육 자녀양육 시리즈] 7. 경쟁심이 너무 강한 아이의 지도법에 대하여
    경쟁심이 너무 강한 아이의 지도법에 대하여 1. 부모는 일반적으로 첫째 아이보다는 둘째 아이에게 더 관용적이다.형에게는 동생에게 양보하라 가르치기도 하고,모든 게임 상황에서 형이나 언니에게는 어린 동생에게 고의적으로 져 줌으로써 동생이 만족하게 해 주도...
    2024-01-23
  • [부모교육 자녀양육 시리즈] 6. 거짓말로 위기를 넘기려는 아이의 지도법에 대하여
    거짓말로 위기를 넘기려는 아이의 지도법에 대하여 1. 거짓말하는 것은 자기 조절 능력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0세 아동이 거짓말하는 것은 연령적으로 이미 형성되어 있어야 할 자기 조절 능력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이러한 능력...
    2024-01-23

부모교육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23길 58
마인드브릿지 빌딩 3층 서울마인드브릿지 심리상담센터
02-332-5112
010-9738-5114

상담

서울마인드브릿지 기관